네, 청소년 정신과 상담에도 비용이 발생해요. 하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때문에 생각보다 부담이 크지는 않습니다.
자세한 상담 비용과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아요.
1. 정신과 상담 비용 (건강보험 적용 시)
정신과 상담 비용은 병원의 규모(의원, 병원, 종합병원 등)와 상담 시간에 따라 달라져요. 건강보험이 적용될 경우 본인이 부담하는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의원급 (일반 정신과 의원) 기준:
10분: 약 6,400원
20분: 약 7,800원
30분: 약 9,700원
40분: 약 11,700원
40분 초과: 약 13,900원
상담 시간이 30분 이하일 경우 만원이 넘지 않습니다 .
초진 비용: 처음 방문할 때는 진찰 외에 추가적인 검사(우울증 검사, 불안 증세 검사 등)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요. 이 때문에 초진 비용은 평균 약 39,253원 정도이며, 검사 여부에 따라 19,200원에서 135,000원까지 다양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검사를 적게 하면 약 2만 원, 다양한 검사가 필요하면 4만 원 이상이 나올 수 있어요 .
재진 비용: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상담만 진행될 경우, 약값을 제외한 진료비는 만원 내외일 것입니다 .
2. 심리 상담 비용 (건강보험 미적용 시)
정신과 의사가 아닌, 상담사가 진행하는 심리 상담 서비스에는 현재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보통 1회기(45분~50분 기준)당 10만 원에서 12만 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해요 .
3. 청소년 상담 비용 지원 제도
다행히 청소년들을 위한 상담 비용 지원 제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정신건강 외래 치료비 지원: 각 지자체에서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을 위해 외래 치료비(진료비, 검사료 포함)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경기도에서는 청소년의 정신건강 외래 치료비를 지원하며, 정신의료기관 또는 정신의료기관 부설 심리상담센터에서 실시한 검사료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청소년 관련 기관이나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문의하시면 이러한 지원 제도에 대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경제적인 부담 때문에 주저하지 마시고, 도움을 받으세요.